국제/미국 이란 핵시설 폭격

🛢️ 이란 의회, 호르무즈 해협 봉쇄 승인… 한국 경제에 불어올 충격은?2025.6.23(월)

@thiskorea 2025. 6. 23. 06:24

2025년 6월 23일,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공식 승인하며 중동발 에너지 안보 위기가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 해상 원유 물동량의 약 30%가 이 해협을 통과한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는 한국 경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입니다.


📉 호르무즈 해협, 얼마나 중요한 통로인가?

호르무즈 해협은 중동에서 생산되는 원유·가스·석유제품의 핵심 수송로로,
업로드된 데이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흐름이 확인됩니다.

🛢️ 연도별 해협 통과 석유 물량 (단위: 백만 배럴/일)

연도총 통과량원유+콘덴세이트석유제품
2020 19.07 14.27 4.81
2021 19.39 14.39 4.99
2022 21.42 15.96 5.46
2023 21.39 15.54 5.85
2024 20.26 14.32 5.94
2025 1분기 20.10 14.21 5.89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65504

📌 2025년 1분기에도 여전히 하루 약 2,010만 배럴이 통과하는 세계 최대 해상 에너지 루트입니다.


🇰🇷 한국 경제, 왜 민감한가?

한국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인 국가이며,
특히 사우디, UAE, 쿠웨이트 등 중동 원유 비중이 60% 이상입니다.

  • 유가 급등 → 수입 원가 상승 → 제조업 생산비 증가
  • 소비자 물가 압박 → 기준금리 인상 압력
  • 무역수지 악화 → 환율 불안정

따라서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원유 가격 급등과 공급 차질이 동시에 발생
한국의 물가, 무역, 금융 시장 전반에 파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그럼 실제 시나리오는?

상황결과 예측
전면 봉쇄 두바이유, 브렌트유 30~50% 급등 가능성(130$)
제한적 통행 운임 증가 + 보험료 상승 → 정제마진 하락
외교적 해소 단기 유가 반등 후 안정화
 

한국은 전략비축유는 약 100일치 확보,
다양한 원유 공급선 확보 전략을 통해 대비해왔지만,
운송 중단이 2개월 이상 지속되면 가격보다 “물량 부족”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정책적 대응 방향은?

  • 단기: 전략비축유 방출 및 원유 수입선 다변화
  • 중기: LNG, 원자력, 태양광 등 비중동 에너지 의존도 감소
  • 장기: 전기차, 수소 기반 산업 구조 전환 가속화

✅ 결론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석유의 혈관입니다.
그 혈관이 막히는 순간, 한국 경제는 직접적인 고통을 피할 수 없습니다.
단순한 유가 상승을 넘어 에너지 안보와 산업구조까지 근본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정부와 산업계의 선제적 대응이 절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