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택 보유세에 대해서
    사회/주택 2025. 7. 1. 07:35

    "세금은 피해가 아니라 인프라의 비용입니다"

    최근 집값 상승과 관련해 “보유세가 과하다”, “세금이 집주인을 쫓아낸다”는 주장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 은퇴자 등이 보유세를 감당하지 못해 ‘집을 지키지 못하는 피해자’로 묘사되곤 합니다.
    하지만 한 걸음 물러서서 생각해보면, **보유세는 단순한 징벌이 아닌 ‘도시 유지의 대가’**일 수 있습니다.


    🔍 인프라에는 비용이 듭니다

    우리가 사는 도시에는
    도로, 지하철, 상하수도, 공원, 소방·경찰 등 수많은 공공 인프라가 존재합니다.
    이 인프라는 거주자뿐 아니라 부동산 보유자 모두의 이익을 증대시킵니다.

    📌 그러므로 부동산을 소유한다는 것은, 그 도시의 공공 자산에 대한 간접 혜택을 누리는 것입니다.
    이 혜택에 대한 비용을 보유세라는 형태로 일부 회수하는 것은 정당합니다.


    🚪 보유세 때문에 지역을 떠나야 한다고?

    재개발로 인해 원주민이 밀려나듯,
    보유세가 높아지면 자산이 있지만 현금 흐름이 없는 사람들이 집을 팔고 떠나는 경우도 생깁니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이미 시장에서 수용한 논리이기도 합니다.

    • 재개발, 재건축 → 도시 발전의 부작용
    • 보유세 인상 → 정책적 부작용
      두 경우 모두 부작용은 존재하지만, 전체 도시 시스템과 자산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집값 안정, 가장 강력한 수단 중 하나는 보유세

    • 거주 목적보다 투자 목적의 수요 억제
    • 다주택자의 매물 유도
    • 단기 시세 차익 기대 심리 억제

    ✅ 결국 보유세는 투기를 견제하고 실수요 중심의 시장을 만들기 위한 가장 직접적인 수단입니다.
    단기 고통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시 전체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정책입니다.


    🤝 다만, 형평성 있는 정책 보완이 필요합니다

    • 고령 은퇴자, 저소득 1주택자에겐 유예·분납제도 도입
    • 지역별 집값 차이에 따른 정교한 공시가 보정 체계 마련
    • 세금의 투명한 사용처 공개 → “보유세 = 혜택의 대가” 인식 확산

    ✅ 결론: “세금은 처벌이 아니라 균형입니다”

    보유세를 ‘피해’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집값 안정과 공공 인프라 유지의 책임을 나누는 도구로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시의 가치는 공동체가 만든 것입니다.
    그 가치를 독점하고 있다면, 적절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사회적 책임입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