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어린이통학차량 정차 시 어린이 하차를 위한 개선 방안
    사회/저출산 2024. 11. 8. 16:54


    1. 어린이 하차 전 안전 확인

    • 어린이 통학차량의 운전자는 어린이가 모두 하차할 때까지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하차 후에도 어린이가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개선 방안: 하차 시 어린이들이 운전자의 지시에 따라 일렬로 대기하도록 하고, 도우미가 있다면 하차 및 건널목까지 안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추가로 할 수 있습니다.

    2. 차량 주변 보행자 통제

    • 통학차량 주변을 지나는 차량은 일시 정지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어린이가 도로로 뛰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 개선 방안: 하차 지점 근처에 노란색 안전펜스를 설치해 어린이가 도로 쪽으로 바로 뛰어나가지 않도록 하며, 보호구역 표시를 더 눈에 띄게 표시합니다.

    3. 어린이 보호구역 강화

    • 어린이 통학차량이 정차할 경우, 모든 주변 차량은 일시 정지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는 차량 속도를 제한하고, 주의표지판을 통해 어린이 보호 구역임을 알립니다.
    • 개선 방안: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임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차 지점 근처에 LED 점멸등을 추가 설치하거나, AI 기반의 속도 감지 카메라를 도입해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을 강화합니다.

    4.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 교육

    • 도로교통법에 따라 어린이 통학차량 운전자는 정기적인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 개선 방안: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어린이에게도 하차 시 안전하게 건너는 방법에 대해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에서도 ‘도로 안전 체험 교육’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5. AI 기반 안전 시스템 도입

    • 최근 도로교통법에서는 어린이 보호를 위한 AI 기술 도입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 개선 방안: 차량에 AI 기반 어린이 위치 감지 센서를 설치해, 어린이가 하차 후에도 차량 주변에 남아 있거나 도로로 갑자기 나가는 것을 감지해 알림을 주는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어린이 통학차량 하차 시 더욱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학부모와 운전자의 안전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