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연금
-
2025년 연금 개혁 주요 내용사회/연금 2025. 4. 11. 10:14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가 국가가 지급을 보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가가 망하지 않는 이상 국가는 국민들에게 연금을 지급해야만 한다. 이건 젊은 층에서 가장 걱정한 부분이며 '과연 나는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의 의문을 해소해 준 개정안이라 할 수 있다.그리고 군 복무 기간을 6개월에서 12개월로 추가로 산입하도록 해주었다. 아쉬운 건 군 복무 기간을 전체 기간을 삽입해주지 않은 것이다. 또한 자녀 수 마다 12개월씩 추가된다. 전에는 추가 산입 기간이 50개월로 제한되었지만 이번 개정안으로 제한 기간이 삭제되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바로 명목소득대체율을 43%로 한 것이다. 야당이 44%, 여당이 43%를 주장하다 야당이 43으로 합의하면서 소득대체율이 올라갔다. 현행 9%인 보험료율을 13%..
-
공무원 연금 쉬운 계산법사회/연금 2025. 4. 11. 02:09
평균급여에 1.7%를 곱하고 근무연수를 곱하면 됩니다.평균급여가 만약 4,000,000원이라고 가정하고, 40년 근무했다면 4,000,000원*1.7%*40년해서 2,720,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국민연금 계산법으로 따지면 18% 내고 40년 기준 소득대체율이 68%입니다. 공무원은 기여금으로 국민연금의 2배를 내므로 9%로 계산하면 34%가 되겠습니다.국민연금이 덜 받는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오산이십니다. 공무원연금이 내는 돈에 비해 더 적게 받아요. 국민연금은 현행 40%이고 앞으로 43%까지 오를 예정입니다. 이에 반해 공무원 연금은 점점 떨어져 34%가 됩니다.계산하기 쉽게 해서 그렇지 사실 다음 법률을 참조하셔야 합니다. 2016년부터 2034년까지 매년 비율이 떨어집니다. 1.9%에서 그래..
-
[국민연금 개혁]받는 기간을 조정하자(60세부터 80세까지)사회/연금 2025. 4. 11. 01:39
현행 연금은 앞으로 65세부터 죽을때까지 지급받는 구조다. 하지만 평균 은퇴 연령을 고려하면 65세까지 기다리는 것은 너무나 길고 고되다. 그래서 연금 지급 기간을 20년으로 한정하자는 것이다. 81세부터는 모든 식비, 주거비, 교통비, 의료비 등을 평균적으로 나라에서 제공하자는 것이다. 기초 연금은 현재 65세부터 지급하는데 이것을 최대한 모아서 81세부터 월 100만원(2025년 기준)씩 지급하는 것이다. 연금이 아닌 정부 세금으로. 연금 고갈의 가장 큰 고민은 65세부터 몇년까지 받는지이다. 언제 돌아가실 지 모르니 연금 고갈 시기를 정확히 산정하지 못한다. 그리고 100세까지 살게되면 무려 35년을 받게 된다. 보통 30세부터 55세까지 납부를 하면 25년에서 30년 사이로 납부를 하는데 더 긴 ..
-
연금 펀드 추천(미국 나스닥 100 데일리커버드콜 OTM)사회/연금 2025. 1. 17. 14:12
**삼성KODEX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은 나스닥100 지수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을 활용하여 옵션 프리미엄을 추구하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이름이 다소 길지만, 용어를 하나씩 살펴보면 이해하기가 훨씬 쉽습니다.1. 기본 운용 대상: 미국 나스닥100미국 나스닥(NASDAQ)에 상장된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된 나스닥100 지수에 투자합니다. 예: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마존(Amazon), 엔비디아(NVIDIA) 등이 지수에 포함됩니다.따라서 해당 ETF의 주된 성과는 나스닥100 지수 흐름에 의해 좌우됩니다.2. 커버드콜(Covered Call) 전략커버드콜이란 보유 중인..
-
국민연금 소득 재분배 과연 공정한가사회/연금 2024. 5. 9. 09:57
국민연금에는 월급 소득자와 자영업자 임의가입자 등 굉장히 다양한 구성원들이 섞여 있다. 하지만 자영업자와 임의가입자의 소득은 투명하지 않고 오히려 굉장히 축소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임의가입자의 경우 소득이 지출보다 많아서 가입 여력이 되는 경우도 있기에 굉장히 매력적인 저축 수단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밝혀진 소득이 많다는 이유로 소득이 불투명한 저소득 연금 가입자에게 소득 재분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과연 옳을까라는 굉장히 상식적인 생각이다. 만약 소득 재분배 기능을 사용하려 한다면 정부가 직장 가입자와 같이 소득이 매우 투명한 가입자에게만 적용을 해야한다. 그리고 정부 세금으로 지급을 해야지 고소득자라 불리어지는 유리 지갑에서 털어가서는 안된다.https://news.k..
-
국민연금 소득 재분배 이야기+국민연금 공무원, 군인, 사학연금 통합사회/연금 2024. 5. 9. 09:41
ㅇ 소득 재분배 기능 폐지국민연금에는 현재 공무원, 군인, 사학 교원들은 가입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들은 사회의 상위급의 소득을 벌고 있다. 그렇기때문에 국민연금 자체가 소득 하위층과 상위층도 있지만 상위층의 연금은 소득 최대 금액이 617만원이라 1억이상 소득을 버는 사람들은 국민연금 기금에 큰 기여를 하지 않고 있다. 그렇기때문에 너무 큰 소득 보전을 바라기보다는 소득보전은 국가 세금을 해주고 국민연금은 낸 돈 만큼만 돌려받게 해줘야 한다. 소득이 많다고 평생 소득이 많은 것도 아니고 일정 기간만 소득이 많을 수도 있는데 그런식의 소득 보전 역할을 국민 연금이 해주면 안된다는 것이다. 세대로 따져도 소득을 많이 버는 구간이 민간의 경우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 필요)ㅇ 모든 국민이 가입..
-
바보야, 문제는 납부기간이야(국민연금 납부기간)사회/연금 2024. 5. 1. 08:47
현재 국민연금 소득 대체율은 40%이다. 여기에 함정은 40년 납부시 연금 가입 시 평균 소득 금액의 40%를 주는 방식인데 IMF 이후 40년을 채울 수 있는 직장은 거의 사라져버렸다. 심지어 공무원 입직 연령도 20대 후반으로 밀리는 바람에 공무원 조차도 40년을 채우는 사람이 거의 없어져버릴 지경이다. 국민연금 납부 기간을 40년을 채울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대학 졸업 기간과 첫 취업에 걸리는 시간동안 지원을 해주는 방법이다. 18세부터 24세까지 지원해주고 군대 크레딧 3년, 출산 크레딧 3년으로 국민연금 기간을 늘려주는 방법을 생각해보아야 한다.